한국국정관리학회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학회 자료실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Studies

 

 

 

 

 

 

 

HOME > 학회 자료실 > 학회자료실      

 

검색결과 년도: (전체년도), 자료구분: (학술대회 자료), 제목: (모든제목), 저자: (모든저자), 내용: (모든내용)
검색결과에 만족하지 않으십니까?
· 자료구분 학술대회 자료
· 년도 2010년
· 자료명 2010 춘계 - 노승용(서울여대) Digital Governance and Trust in Governmnet
· 저자 학회
· 첨부파일 2010춘계논문_06노승용.pdf (파일크기: 592.8K, 다운로드 수 : 78)
· 내용 Two types of government deficit, namely the “budget deficit” and the “trust deficit,” are terms we hear frequently. Of those two types of deficit, citizens’ perception of trust in government has decreased in a large number of democratic countries throughout the world (Cisneros and Parr, 1990: 408-413; Gore, 1994: 645-649; Greider, 1992; Lipset and Schneider, 1983; Miller 1974; Nye, 1997: 1-2; Norris, 1999).
Most developed democracies are experiencing a collapse of confidence in traditional models of democratic governance. Traditional structures and cultures of policy formation and decision-making are perceived as being remote from ordinary citizens. There is a pervasive contemporary separation between citizens and government that is manifested in almost every Western country by falling voter turnout, lower levels of public participation in civic life, and public cynicism towards political institutions and parties (Berman, 1997: 105-112; Erber and Lau, 1990: 235-253).

In addition, since healthy democratic governance depends upon trust among actors such as elected officials, public administrators, and citizens,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political scie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have continually focused on the issues regarding trust in government. Historically, Plato, in his book, Republic, indicated that the mutual trust among actors in a political realm is fundamental, and Aristotle, in his book, Politics, argued that tyrants are a source of distrust. In contemporary political science, in particular, since the 1950s,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decline of trust in government, its causes, and the ways to restore it. They, however,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systematic and empirical approach of trust in government,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government interaction and trust in government.

In the rapid development of ICTs, however, traditional models of representation have come under pressure to change. ICTs have the potential to facilitate a more direct interaction between citizens and governmen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democracy (Becker, 2004: 61; Becker and Slaton, 2000). The Internet and the World Wide Web make this a viable next step in our democracy. Casting one’s vote on the Internet, attending Congressional hearings or City Council meetings via the Web, instant public opinion polls, interactive candidate debates, and easy public access to government data are but a few of the potential outcom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starts with questions: Why does trust deficit exist? How can it be restored?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has an emphasis on the role of ICTs.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digital governance from the citizen-government interaction perspective on trust in government.


(위 논문의 서론에서 발췌함)


현대사회와 행정 ISSN 1229-389X (Print), ISSN 2713-6302 (Online)
등록자료 113건
번호 자료구분 년도 자료명 첨부 조회
113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성과 정보가 조직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68
112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감정전염에 근거한 애니메이션 오프닝의 문화유산으로서의 정책적 가치 탐색:BERT 기반 감정분류를 중심으로 71
111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국내 시립합창단의 네트워크 자원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66
110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정부 연구개발사업의 산학연 협력에 따른 성과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사업의 특허 성과를 중심으로 68
109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육군 병사 복무기간 조정의 역사적 경로와 결정 요인: 환경적 · 제도적 맥락, 행위자 요인의 상호작용 분석 82
108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고령층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온라인 사회참여 활동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76
107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 머신러닝을 활용한 공공부문 조기 이직 예측 모형 연구 없음 84
106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길버트와 테렐의 사회복지정책 분석틀을 활용한 한국의 예술인고용보험 제도 분석: 영국, 독일, 핀란드의 사례와 비교 60
105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지방정부의 재정적 역량이 문화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 63
104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 전문예술법인·단체의 증가와 지방정부의 역할 72
103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지방정부 재정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59
102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 인천시 행정체제 개편 과정과 과제 56
101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공무원 갈등관리 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갈등관리 교육 요구도 분석을 중심으로 70
100 학술대회 자료 2025년 2025 동계- 재난안전교육 패러다임 모색: 역량기반 교육체계를 중심으로 68
99 학술대회 자료 2024년 2024 추계- 새마을인적네트워크 구축과 활성화 방안 166
 1  2  3  4  5  6  7  8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